전남 무안 국제공항 제주항공 비행기 사고 원인
2024년 12월29일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비행기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바퀴가 다 안 내려와 속도 줄이기 못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조류 충돌 원인이지, 다른 기체 결함인지에 대해서는 좀 더 자세한 조사가 나와야 한다고 합니다. 겨울방학이 시작되면서 앞으로 해외여행 및 비지니스 계획이 많으실텐데요. 오늘 사고 소식과 더불어 보잉사, 에어버스 비행기 기종에 대해서도 자세히 알아보고자 합니다.
목차
1. 전남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비행기 사고 발생
12월29일 오전 8시 30분에 무안공항에 도착할 예정이었는데, 1차 착륙 시도가 잘 안 돼서 복행하고, 9시 7분쯤 다시 착륙을 시도했대요. 근데 이 과정에서 바퀴 역할을 하는 랜딩기어가 안 내려오더니 결국 동체 착륙을 할 수밖에 없었답니다.
여객기 바퀴에 해당하는 랜딩기어가 내려오지 않아 동체 착륙을 시도했다는 정황이 나왔습니다. 랜딩기어 고장 원인이 정확히 밝혀지진 않았지만, 현재까지 '버드 스트라이크(조류 충돌)'로 추정됩니다. 동체 착륙을 시도한 여객기는 활주로 끝단에 이를 때까지 속도를 줄이지 못했고, 활주로 외벽과 충돌하면서 폭발과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이때 충격으로 동체도 둘로 갈라지는 사고로 이어졌습니다.
복행이란?
착륙하려고 내려오던 비행기가 착륙을 중지하고 다시 날아오는 것을 뜻합니다.
탑승자 가족 문의국내) 080-898-1500 해외) +82-1599-8629 미주) +1-833-892-0197
2. 제주공항 보잉 737-800 어떤 기종인가?
제주항공의 7C2216편은 방콕 수완나품 공항(BKK)에서 무안국제공항(MWX)으로 운항하는 항공편으로, 보잉 737-800 기종이 투입됩니다. 보잉 737-800은 단일 통로를 가진 협동체 항공기로, 제주항공은 이 기종을 189석의 단일 클래스 구성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탑승 시 좌석은 ABC DEF 형태로 배열되어 있으며, 기내 수하물 허용 한도는 최대 10kg, 위탁 수하물은 국제선 기준으로 최대 20kg까지 허용됩니다.
보잉 737-800은 보잉 737 시리즈의 3세대 모델로, 중단거리 및 중형 항공기로 설계되었습니다. 이 항공기는 경제성, 연료 효율성, 신뢰성을 겸비하여 전 세계 많은 항공사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3. 보잉 737 기본 사양
- 제조사: 보잉(Boeing)
- 최초 운항: 1997년
- 승객 좌석 수: 최대 189석 (단일 클래스 구성), 약 162석 (2클래스 구성)
- 길이: 39.5m
- 날개 폭: 35.8m
- 높이: 12.5m
- 최대 이륙 중량(MTOW): 79,015kg
- 항속 거리: 약 5,436km
- 순항 속도: 약 840km/h (마하 0.78)
- 엔진: CFM56-7B 터보팬 엔진 (두 개의 엔진 탑재)
- 항공기 가격: 약 1억 6000만 달러 (2023년 기준, 항공사마다 다를 수 있음)
보잉 737-800은 제주항공, 대한항공, 아메리칸 항공, 라이언에어, 사우스웨스트 항공 등 다양한 항공사에서 운영하며, 특히 저비용 항공사(LCC)에서 주력 기종으로 사용됩니다.
보잉 737-800 기종의 가격은 구매 시점과 환율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2020년 기준으로, 이 기종의 리스트 가격은 약 9,600만 달러로 알려져 있습니다. 당시 환율(1달러 = 1,200원)을 적용하면 한화로 약 1,152억 원에 해당합니다. 그러나 실제 항공사들은 대량 구매나 옵션 선택 등을 통해 할인된 가격에 항공기를 구매하는 경우가 많아, 최종 가격은 이보다 낮을 수 있습니다. 또한, 중고 항공기의 경우 상태와 사용 연한에 따라 가격이 크게 달라집니다.
4. 내가 예약한 항공기 알아보기
겨울방학이 시작되면 많은 분들이 내가 예약한 비행기는 어떤 기종인지 궁금하실 수도 있습니다. 내가 예약한 항공 기종을 알아보려면 우선 비행기편명을 알아야 합니다. 예약정보에 비행기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편명에 대해 항공사 홈페이지에 문의할 수 있습니다.
항공 예약정보에는 어떠한 기종이 투입되는지 알 수 없어 저는 가장 빠르게 챗 GPT에 문의해보니 쉽게 답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해당 항공기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는 항공사 홈페이지에서 자세한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이번에 발생한 제주항공은 보잉 737 기종이였는데요. 보잉, 에어버스를 종종 들어보셨을겁니다. 보잉(Boeing)과 에어버스(Airbus)는 세계를 대표하는 두 항공기 제조사로, 각각의 항공기는 설계 철학, 기술 접근 방식, 운영 전략에서 뚜렷한 차이가 있습니다.
5. 보잉과 에어버스 역사
- 보잉 (Boeing)
- 본사: 미국 버지니아주 알링턴
- 설립: 1916년
- 특징: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항공기 제조사로, 군용기와 민항기를 포함해 다양한 항공기 제작에 강점.
- 에어버스 (Airbus)
- 본사: 프랑스 툴루즈
- 설립: 1970년
- 특징: 유럽 연합의 협력으로 설립된 기업으로, 기술 혁신과 효율적인 운영 설계를 중점적으로 추구.
6. 보잉과 에어버스 차이점
- 보잉
- 조종사의 판단과 직접적인 조작을 중요시.
- 대부분의 항공기는 유압식 조종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며, 조종사가 항공기를 직접 제어하도록 설계.
- 예: 보잉 737, 보잉 777 등은 조종사 중심의 설계로 유명.
- 조종석에 전통적인 요크(yoke) 형태의 조종간 사용.
- 조종사들에게 직관적이고 클래식한 느낌 제공.
- 조종석에 전통적인 요크(yoke) 형태의 조종간 사용.
- 에어버스
- 자동화와 컴퓨터 기반의 제어 시스템 강조.
- 플라이 바이 와이어(Fly-by-Wire) 기술을 적용해 컴퓨터가 조종사의 명령을 보조 및 수정하여 안전성을 강화.
- 예: 에어버스 A320, 에어버스 A350 등은 자동화된 시스템으로 유명.
- 사이드스틱(side stick) 사용.
- 조종석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며, 한 손으로 조작 가능.
7. 주력 기종
- 보잉
- 중단거리: 보잉 737 시리즈 (특히 737 MAX)
- 장거리: 보잉 777, 787 드림라이너
- 초대형: 보잉 747 (현재 단종)
- 에어버스
- 중단거리: 에어버스 A320 시리즈 (특히 A320neo)
- 장거리: 에어버스 A330, A350
- 초대형: 에어버스 A380 (현재 단종)
8. 연료 효율성 및 환경 기술
- 보잉
- 연료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복합소재를 활용한 경량화 기술에 집중.
- 보잉 787 드림라이너가 대표적.
- 에어버스
- 에어버스는 neo (New Engine Option) 시리즈를 통해 더 효율적인 엔진을 제공.
- 탄소 배출 감소 기술에 적극적.
9. 시장 점유율 및 경쟁
- 보잉
- 북미와 아시아에서 강세.
- 전통적으로 높은 시장 점유율을 차지했으나 최근 에어버스와 치열한 경쟁.
- 에어버스
- 유럽과 중동에서 강세.
- 에어버스 A320neo 시리즈의 성공으로 보잉의 737 MAX와 경쟁 우위를 보임.
보잉은 전통적인 조종 감각과 검증된 기술에 강점이 있는 반면, 에어버스는 자동화와 최신 기술을 바탕으로 효율성과 편의성을 강조합니다. 항공사는 운항 거리, 노선, 운영 철학에 따라 두 제조사의 항공기를 선택하게 됩니다.
'일반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애드센스를 열어보니 광고 크롤러 오류가 있으며, 이 때문에 수익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해결 방법 알아보기 (1) | 2024.12.30 |
---|---|
티스토리 블로그 디스플레이 광고 배너 설정하는 방법 (0) | 2024.12.29 |
개인 사업자 대출 상품 비교 공시 서비스 시작 (12월 23일 시행) (0) | 2024.12.23 |
겨울 방학 해외여행자를 위한 아고다(Agoda) 1월 할인코드 정보 (4) | 2024.12.23 |
이재명 테마주 상한가! 지금 주목해야 할 관련주 완벽 정리 (1) | 2024.12.19 |
댓글